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고 정당함이 힘찬 급류가 될 때까지 우리는 만족할 수 없습니다.(중략)
오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We will not be satisfied until justice rolls down like waters and righteousness
like mighty stream (...) I have a dream today.
1963년 8월 28일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

1929년 1월 15일에 태어난 마틴루터 킹 2세는 목사이자 미국의 대표적인 흑인민권운동 지도자였습니다.
19964년에 그는 인종분리정책과 차별을 종식시킨 공로로 최연소 노벨평화상 수상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1968년 4월 4일 저격당해 세상을 떠나던 날까지, 그는 빈곤을 없애고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투쟁에 앞장섰었습니다.
킹은 유명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 연설을 시작하면서
모든 사회계층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자신의 주장을 대담하게 내세웠습니다.
그는 미국 헌법 제정자들은 모든 미국 국민이 상속인으로 지정된 약속어음에 서명했다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 어음이 모든 사람들에게 생명과 자유, 행복의 추구라는 양도할 수 없는 권리가 부여되었음을 보증했다는 사실과 함께, 미국이 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사실까지도 지적했습니다.
어떤 무대기술을 갖고 있든 그것을 갈고 닦아야 합니다.
마틴 루터 킹의 인물된도 그러했지만, 풍채 역시 그에 못지않게 위풍당당했다고 합니다.
건장한 키에 떡 벌어진 체형이었던 그는 강인하고 에너지가 넘쳤으며, 미국 전역에 분명하고 권위있게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깊고 낭랑한 목소리를 갖고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남부에서 침례교 목사로 활동할 때 설교를 통해 정기적으로 자신의 웅변술을 갈고 닦았고,
이러한 경험은 훗날 그의 연설에 많은 도움을 주었씁니다.
그는 연단뿐 아니라 라디오나 TV에서도 자신감 넘치는 모습을 보였고,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어줬습니다.
반복은 유용한 도구이니 어조와 표현을 활용해 강력한 리듬과 운율을 만들어야 합니다.
킹의 연설은 마치 음악처럼 강하고 열정적인 리듬을 갖고 있었습니다.
청중은 그의 연설에 흥분하고 매료되었으며, 위안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그의 연설문의 구조와 표현, 그리고 이를 전달하는 그의 어조 덕분이었습니다.
그는 다른 훌륭한 연설가들과 마찬가지로 더욱 더 강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해주는
반복의 힘을 알고 있었습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지금입니다', '우리는 만족할 수 없습니다',
'돌아가십시오', '마침내 자유를 얻었습니다' 등은 연설 내내 집중적으로 반복된 구절입니다.
이러한 표현은 사람들이 쉽게 반복하고 기억하기 쉬운 마치 익숙한 노래의 후렴구처럼 됩니다.
이렇듯 주요 구절들을 반복함으로써 그는 목사 시절 그랬던 것처럼 청중으로부터 에너지와 기대감을 얻어냈고,
결국 그들의 참여까지 이끌어내는 결가를 가져왔습니다. 연설을 마치 청중이 참여하는 행사같이 이끌었던
킹의 능력은 놀라웠습니다.

미래에 대해 강력하고 자극적이면서도, 구체적이고 진실한 비전을 제공해야 합니다.
그는 심오하고도 광범위한 호소력을 지닌 메세지를 통해 포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가 꿈꿨던 미래의 이미지와 비전은 강력하고도 보편적이었습니다.
청중을 파악하고 존중해야 합니다.
킹은 자신의 청중이 진보와 변화를 열렬히 원하고 있으며, 그들이 평화를 애호하는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이런 평범하고 상식적인 상황을 고결하고 감동적인 어조로 풀어냈습니다.
"비통과 증오의 잔에서 흘러내린 물로 자유를 향한 우리의 갈증을 풀려고 하지 맙시다."
은유법과 함께, 친숙하고 매력적인 이미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킹은 감동을 일으키고 마음을 움직이는 대중적인 이미지를 찾기 위해 성서뿐 아니라 자연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예를 들면 "이제 차별의 어두컴컴하고 황폐한 계곡으로부터 빠져나와 인종적 정의가 구현되는 양지바른 길로 올라가야 합니다.",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고 정당함이 힘찬 급류가 될 때까지 우리는 만족할 수 없습니다."
그는 자신의 생각이 당연할 뿐 아니라 유구한 자연처럼 불편함을 주장했던 것입니다.
이들 문장에서 볼 수 있듯, 그의 표현력은 상당히 뛰어났었습니다.
마틴루터킹은 많은 유산을 남겼습니다.
그는 린든손슨의 행정부 시절 민권관련 법률의 통과를 주장했습니다.
이는 마침내 미국 내에서 제도상의 인종차별이 종식되었음을 의미했씁니다.
또한 그는 자신의 행동과 연설을 통해 사람들에게 불의와 차별을 없애기 위해 투쟁하도록 영감을 불어넣고 격려했습니다.
이러한 위대한 업적 때문에 그의 뛰어난 웅변술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감동적인 연설을 통해 전쟁 등 비상사태가 아닌 상황에서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사회적 대의와 정의를 위해 투쟁하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었씁니다. 이는 여론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 것이지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이기도 합니다.
마틴루터 킹은 생전에도 많은 존경을 받았지만 사후에 더욱 더 존경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날까지도 그의 연설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용기와 꿈을 북돋워주고 있습니다.
'세기의 연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대한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 의 서약 Galileo Galilei (0) | 2022.01.10 |
---|---|
위대한 연설가, 버락 오바마 (Barack Obama, Barack Hussein Obama II)의 미국 대선 승리 수락연설 (0) | 2022.01.09 |
세기의 명 연설가, 소크라테스 (Socrates) 의 변론 (0) | 2022.01.05 |
최고의 명 연설, 존F. 케네디(John F. Kennedy)의 대통령 취임당시 연설 (0) | 2022.01.04 |
최고의 명연설, 벤자민 프랭클린 (Benjamin Franklin) 미합중국 헌법 최종안 서명 직전 한 연설 (0) | 2022.01.03 |